목록전체 글 (103)
최용우
출퇴근 시간에 매일 같이 타는 버스가 있다. 강남에 가는 1151 버스다. 그 기사님은 유독 혼잣말이 많으셨다. 버스기사는 기본적으로 혼자 운전하고 일하는 직업이기에 저렇게라도 말을 하시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는 버스정류장에서 승객 기다리는 방법에 대해서 서술했다. 버스 정류장에는 다른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이 혼재하기에 서야할지 가야할지 판단이 쉽지 않다. 그래서 그 분은 일단 정차하고 문을 열고 7초간 기다린 후 없다면 문을 닫고 출발한다고 한다. 나는 그런가보다 하고 가만히 듣고있었는데 다음정류장에서 한 승객이 손을 들고 본인이 타겠다는 표시를 한다. 기사님이 "저러면 얼마나 좋아요, 내가 고민할 필요가 없잖아" 라는 말을 했다. 나는 순간 저 단순한 소통방식이 얼마나 아름답고 효율적인지 알 ..
Rest API의 창궐나는 지금 작업하고 설문조사 프로젝트에서 Django를 사용하여 백엔드 서버를 만들고 있다.Django는 내가 가장 좋아하는 파이썬 백엔드 프레임워크이고 지금까지는 주로 DRF(Django Rest Framework)와 결합하여 Rest API를 주로 제공해왔다.이 방식은 현재까지도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방식이고 그렇게 사용하고 있다.그러나 한 5년전이었나 Facebook(현 Meta)에서 GraphQL이라는 새로운 API 개념을 만들었고 이는 프론트와 백엔드 개발 환경을 매우 다른 양상으로 바꾸었다. 그런데 어떻게 바꾸었냐고?GraphQL이란? (Graph Query Language)핵심은 간단하다. "내가 원하는 정보만 받아서 쓰자." 이것이 가능하다면 백엔드 입장에서는 중구난..
연설가는 독일의 철학자 리하르트 다비트 프레히트다. 그의 의견을 아래와 같이 요약해보았다. 1. 노동은 산업화 시대에 들어서면서 자리잡힌 전통이다. - 부정적 의미의 전통 - 예컨데, 일안하고 가난한 사람은 경멸하는데 돈많고 일안하는 사람은 존경 - 근면성실이 성공 공식으로 여겨지면서 발생한 모순 2. 기본소득은 필수가 될 것이다. - 독일과 같이 부유한 국가, 사회에서는 기본소득이 보장되어 있어 일을 하지 않아도 생존에 큰 문제 없음 - 특히, 인공지능과 로봇이 사람들의 일을 대신하면서 인간은 노동시간이 줄어듬 - 20세기 독일인은 주 50시간을 일했지만 지금은 주 35시간이 대부분이다. - 여가시간이 발생하면서 무엇이 행복한 삶인지 고민하게 됨 3. 큰 돈은 노동이 아닌 금융에서 움직인다. - 진짜..
많은 서비스업의 기본은 고객의 집 또는 현장 방문이다.예를들면 에어컨, 냉장고, 정수기 설치 관리가 있다. 더 나아가 집 수리, 인테리어, 철거도 있다.방문하는 기사님은 보통 자영업 사장님이거나 회사에 소속된 직원이다.규모가 있는 사업장이라면 중앙 센터에서 소속된 기사님들에게 업무를 분배한다.나는 이때 전산화된 일정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대규모 사업장이 아니라면 일정을 관리해주는 프로그램이 없을 것이다.투자할 여력도 부족하며 만든다고 하더라도 기존에 사용하던 문자메세지, 엑셀관리에 익숙해서 변화에 적응하기도 어렵다.그렇다고 수요가 없다고 하기도 그런데 나는 얼마전 아는분 사업장에 웹 관리시스템 도입을 도와드렸다. 나는 비슷한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더 있을것이라 본다.다만 분야마다 요구하는 사..
1. 스네이크 케이스 (Snake Case)스네이크 케이스는 단어 사이를 언더스코어(_)로 구분하는 방법이다.소문자 스네이크 케이스 (Lower Snake Case): 모든 단어를 소문자로 쓰고, 단어 사이에 _를 사용.예: total_price, user_name, response_time대문자 스네이크 케이스 (Upper Snake Case): 모든 단어를 대문자로 쓰고, 단어 사이에 _를 사용 주로 상수를 표현할 때 사용.예: MAX_RETRIES, TOTAL_COUNT, DEFAULT_USER_ROLE2. 카멜 케이스 (Camel Case)카멜 케이스는 단어를 붙여쓰고, 첫 번째 단어는 소문자로, 두 번째 단어부터는 대문자로 시작하는 스타일이다.소문자 카멜 케이스 (Lower Camel C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