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03)
최용우
사업에서 마케팅보다 중요한게 있을까.내가 정확하게 문제를 풀었다면 그 다음으로 필요한 것은 홍보다.사실 엔지니어들이 가장 범하기 쉬운 실수가 제품만 잘 만들면 잘 팔릴 것이라는 생각이다.하지만 내가 만든것 보다 못한 제품이 때론 잘 팔리기도 하고 필요없어 보이는 제품이 잘팔리는 현실을 마주하게 된다.이는 고객의 소비심리가 항상 논리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이다. 기능과 품질만으로는 절대 성공을 보장할 수 없다.심리적, 감성적 요인이 구매과정에서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마케팅은 단순한 제품 홍보를 넘어, 고객과의 소통을 통해 제품의 가치를 전달해야 한다.소비자가 그 제품을 사용하면서 어떤 경험을 하게 될 것인지를 상상하게 만들어야 한다.타겟 시장 이해: 어떤 고객층이 이 제품을 필요로 하..
풀스택 개발자가 되기 위함이다. 이 용어의 역사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왜냐하면 기본적으로 프로그래밍이라는 것은 End-user 부터 서버까지 모든 작업을 의미하는 것이니까.풀스택 개발자: 시대의 변화풀스택 개발자(Full-Stack Developer)라는 용어는 오늘날 IT 산업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직무 중 하나다. 풀스택 개발자는 프론트엔드(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백엔드(서버, 데이터베이스)를 모두 다룰 수 있는 개발자를 의미한다. 하지만, 풀스택 개발자라는 개념은 비교적 최근에 주목받기 시작한 것이지, 프로그래밍의 역사 속에서 본질적으로 새롭게 등장한 것이 아니다.과거와 현재의 풀스택 개발자사실 프로그래밍이라는 작업은 처음부터 프론트엔드와 백엔드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았다. 초기의 컴퓨팅 시스템에서..
외국계회사 특성상 영어, 일본어, 중국어를 사용한다. 대부분 영어로 소통하지만 우리팀은 일본인이 섞여있어 팀장님은 일본어로 업무를 한다. 나는 영어만 할 줄 안다. 그런데 일을 하면 할 수록 일본어가 필요하다. 히라가나를 외우겠다고 덤볐으나 아직 못했고 간단한 단어만 섞어서 말하는 2살 수준이다. 기본 동사, 명사만 알아도 나의 1차원적인 의사표현은 할 수 있지만 업무에 적용하려면 더 높은 실력이 필요하다. 제목에 익히기라고 적은 이유는 언어는 공부가 아니기 때문이다. 모든 것이 그렇지만 언어는 학문처럼 외우거나 탐구하는 것이 아니라 실전이다. 한마디라도 더 하고 문법적으로 어색하지만 의사표현을 적극적으로 하려고 할 때 는다. 한국사람보다 한국말을 잘하는 미국인 타일러도 위와 비슷한 말을 했다. 내가 타..
혼자서 모든 것을 할 수 없으므로 일을 할 때는 특히, 창업과 같이 제품을 만들고 고객과 상호작용 해야할 때는 협업이 매우 중요하다.누구나 알고 있고 느끼고 있지만 실천하긴 어려운 그런 것이다.원론에 가까울 수록 구체적이지 않고 피상적이며 그 개념만 남아 있을 뿐이다. 나는 얼마전 재미난 일을 겪었다.웹개발 프로젝트를 함께하는 좋은 사람들 사이에서 일어난 일이다.나 포함 총원 3명이고 기존에 내가 메인이 되어 진행하던 프로젝트를 마무리하고 나를 제외한 두명은 해당 프로젝트에서 하차하였다.나는 고객과 소통 하면서 오류 및 개선사항은 여전히 남아 있었으며 어떻게든 두명을 다음 프로젝트로 보낸 뒤 내가 혼자서 하려고 했다.오류처리가 어느정도 마무리 되었고 나는 일주일 정도 쉼을 가졌다. 물론 멤버들의 상호 동..
Nginx에 Next js 서버가 가동중이다. 링크 복사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선 https가 필수다. Nginx conf에 다음과 같이 설정하면 http 요청을 https 로 바꿀 수 있다. server { listen 80; server_name mysite.com; return 301 https://mysite.com$request_uri;}server { listen 443 ssl; server_name mysite.com; ssl_certificate /home/ubuntu/경로/이름.crt.pem; ssl_certificate_key /home/ubuntu/경로/이름.key.pem; location / { proxy_pass http://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