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용우
변수 이름 짓기 규칙(스네이크, 카멜, 파스칼, 케밥) 본문
1. 스네이크 케이스 (Snake Case)
스네이크 케이스는 단어 사이를 언더스코어(_)로 구분하는 방법이다.
- 소문자 스네이크 케이스 (Lower Snake Case): 모든 단어를 소문자로 쓰고, 단어 사이에 _를 사용.
- 예: total_price, user_name, response_time
- 대문자 스네이크 케이스 (Upper Snake Case): 모든 단어를 대문자로 쓰고, 단어 사이에 _를 사용 주로 상수를 표현할 때 사용.
- 예: MAX_RETRIES, TOTAL_COUNT, DEFAULT_USER_ROLE
2. 카멜 케이스 (Camel Case)
카멜 케이스는 단어를 붙여쓰고, 첫 번째 단어는 소문자로, 두 번째 단어부터는 대문자로 시작하는 스타일이다.
- 소문자 카멜 케이스 (Lower Camel Case): 첫 번째 단어는 소문자로 시작하고, 이후 단어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쓴다.
- 예: userName, totalPrice, responseTime
- 주로 변수 이름이나 함수 이름으로 사용.
- 대문자 카멜 케이스 (Upper Camel Case): 첫 번째 단어도 대문자로 시작하고, 이후 모든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쓴다. 파스칼 케이스(Pascal Case)라고도 불린다.
- 예: UserName, TotalPrice, ResponseTime
- 주로 클래스 이름이나 타입 이름으로 사용.
3. 파스칼 케이스 (Pascal Case)
파스칼 케이스는 어퍼 카멜 케이스와 동일하다. 모든 단어가 대문자로 시작하며, 주로 클래스나 구조체 이름에 사용된다.
- 예: OrderItem, ResponseHandler, ProductCatalog
4. 케밥 케이스 (Kebab Case)
케밥 케이스는 단어 사이를 하이픈(-)으로 구분하는 스타일로, 주로 URL이나 HTML, CSS에서 사용된다.
- 예: user-name, total-price, response-time
어떤 변수명을 사용해도 좋으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선 개발자들간의 변수 이름짓기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예를들어 semi_result 라는 변수명은 누가보아도 중간값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total_price는 가격총합을 연상시킬 수 있다.
코드는 간결하게 유지하면서 소통비용은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이 좋은 변수명 짓기 아닐까.
'장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Django-graphene에서 타입 이름 변경하기 (3) | 2024.10.27 |
|---|---|
| Django에서 Graphql을 사용해보자 (1) | 2024.10.12 |
| [Nginx]내가 배포한 웹사이트에 SSL 인증서 적용하기 (0) | 2024.07.31 |
| Next.js & Django, Nginx로 배포하기 (0) | 2024.06.22 |
| 인터페이스 분할의 원칙 (2) | 2024.04.0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