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최용우

지게차 자격증 취득 후기 (실제 취업에 도움이 될까?) 본문

취업

지게차 자격증 취득 후기 (실제 취업에 도움이 될까?)

용우쨩 2025. 3. 15. 14:27

나는 2018년 지게차운전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했다.

(벌써 7년이나 되었네... 시간참 빠르다)

 

난이도는 상/중/하 중에 상이라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일단 실기시험에서 운전을 직접 해야한다.

주변에서 직접 지게차를 운전해 볼 기회가 많지 않으니 무조건 학원을 가야한다.

학원 비용도 조사해보니 익숙해지려면 최소 50만원 이상이다.

시간당 학원비를 내야하는 곳도 있고 일괄 지불해야하는 곳도 있다.

경험상 1회 2시간씩 최소 5번 이상은 타야 합격권이다.

 

나는 군대에서 실기 교육을 받았고 매주 토요일 공병대대에 방문해서 연습했다.

장병이 많다보니 하루에 많이 타면 3번 적게타면 2번 코스를 돌았다.

 

필기시험(필답형)

구글에 [지게차운전기능사 필기시험]로 검색하면 기출문제를 풀어볼 수 있는 사이트가 나온다.

이게 어렵다면 서점이나 쿠팡에서 [지게차운전기능사 필기시험문제]를 구매한다.

가격은 15,000원 내외이므로 부담없다.

기능사 필기 시험은 가급적 기출문제의 답을 외우는 것이 가장 좋다.

문제의 60%이상은 기출문제이므로 답만 외우고 있으면 통과할 확률이 급격히 상승한다.

또한 노력을 많이 안들이고 효율적으로 합격할 수 있는 방법이다.

 

1. 기출문제를 푼다.

2. 답을 외운다.

3. 시험을 친다.

 

실기시험(작업형)

실기 시험이 어렵다. 

주변에 연습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라면 무조건 학원부터 가자.

초기 비용이 들긴하지만 취득하려면 어쩔 수 없다.

유튜브 영상으로 미리 코스를 머리속에 넣고 가면 좋다.

그리고 운전을 해본 사람은 알겠지만 지게차는 조향 바퀴가 뒷바퀴다.

일반 자동차와는 다른 궤적을 보이는데 이것만 익숙해지면 어려울게 없다.

감이 좋은 사람은 2번만 타면 어떻게 운전을 해야할지 알 것이다.

 

1. 코스를 머리속에 그리자.

2. 조향 바퀴는 뒷바퀴.

 

타다보면 익숙해진다.

조급해하지말고 천천히 금을 밟지 않고 주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취득 후 취업에 도움이 될까

지게차는 물류 창고나 건설 현장에 없어선 안될 장비다.

물류 쪽은 대부분 상시 채용을 하고 있으나 어느정도 경력이 필요하다.

건설 쪽도 마찬가지다.

건설은 프리랜서 형식으로 1인 사업체를 만들어서 하는 경우가 많다.

 

현실적으로 자격증만 딴다고 해서 바로 일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관련 분야로 시작하고 기회를 계속 관찰할 수 밖에 없다.

쉽지않은 현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