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01)
최용우
1. Node.js 설치한다. Node 공식홈페이지 가면된다. (https://nodejs.org/en/) 2. 터미널 열고 아래 명령어 입력 npm install -g expo-cli 3. 원하는 프로젝트 생성 expo init 프로젝트명 4. 템플릿 설정 -> 일반적으로 blank, 템플릿 필요하면 tabs 5. 프로젝트 디렉토리로 이동 cd 프로젝트명 6. expo 프로젝트 시작 expo start 7. 스마트폰으로 앱스토어 혹은 플레이스토어에서 expo 앱 설치 8. expo 앱 실행 (iOS는 로그인 필수, 안드로이드는 필수 x) 9. QR 코드 스캔
근래 자격증 공부에 맛들렸다. 닳도록 이야기하지만 자격증은 실력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격증이 재밌는 이유는 확실한 보상때문이다. 1~2개월 단기간 공부하고도 딸 수 있다. 퇴근 후 심심풀이로 알맞다. 소위 말하는 엠젯 세대는 확실한 보상을 좋아한다. 그도 그럴것이 남들 다 갖고 싶어하는 서울 역세권 집 한채, 순수한 근로 소득으로 살 수 있는가? No. 결혼하고 자식 키우면서 집과 차 모두 빚없이 유지할 수 있는가? No. 근로소득은 물가 상승률을 절대 따라 잡을 수 없다. 열일하고도 가난해지는데 그럴 바에야 지금 당장의 만족감과 행복을 바라볼 수 없는 것이다. 날 회의적이라고 비판해도 좋다. 어떤이는 이렇게 비판할 수 있다. 사업을 하거나 몸값을 키워서 돈잘 벌면 되지 않느냐? 맞는 말이다. ..
2022년 09월 23일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 ADsP를 취득했다. 회사다니면서 공부하기에 좋은 자격증이었다. 아래와 같은 이유로 ADsP 자격증을 추천한다. 첫번째, 필기 한번에 끝난다. -보통의 시험의 경우 필기 + 실기 약 3달의 과정을 거치지만 ADsP는 핅기한번이면 끝난다. -책을 처음 샀을 때는 공부해야할 양이 많다고 느껴질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 공부해야 하는 부분은 많지 않다. 두번째, 통계의 기초를 다시 배운다. -인생에서 기초 통계 지식은 쓰일 때가 많다. 대통령 선거때 출구조사를 통한 결과 예측은 매우 신뢰도가 높다. -그 이유는 통계에서 찾을 수 있다. 나는 회사에서 통계적인 지식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세번째, 자격증이 생긴다. -부차적인 결과물이지만 자격증이 생긴다. -실력이 중..
정보처리기사 1회차에 최종(필기 + 실기) 합격했다. 자격증을 취득한다고 해서 실력이 향상되진 않는다. 그런데 어떤 공부를 해야하는지 알려주는 가이드라인 역할은 하는것 같다. 특히 기초적인 Computer Science 지식을 공부하는데는 자격증 준비보다 좋은게 있을까. 많은 현업자들이 이 자격증의 효용성이 없다고는 하지만 자기개발 혹은 자기만족을 위해서 하나쯤 취득하는것도 나쁘지 않아 보인다. 어학 성적처럼 유효기간 제한이 없어 한번 따면 평생 활용할 수 있다. 실기 준비는 수제비 책과 더불어 유튜브 강의를 활용 했다. 수제비 카페에는 매일 정기적으로 올라오는 퀴즈가 있다. 밥먹을 때 이것들만 확인하고 공부하면 준비하시는 모든 분들이 충분히 합격 할 수 있을 것이다.
ADsP Advanced Data Analytics Semi-Professional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강남역 스터디센터에서 4일간 머신러닝 교육을 받았다. No-code기반으로 비전문가도 쉽게 머신러닝을 할 수 있었다. 교육 때 만났던 알고리즘 랩스의 손진호 대표님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미래 인공지능의 마스터 키는 현업 근무자에게 있다. 그렇지 머신러닝, 인공지능 모델 자체의 발전도 중요하지만 결국엔 그 기술이 어떤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느냐가 가장 중요한 문제니까. 현업에 있는 사람들이 본인의 문제를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비즈니스를 발전시킬 수 있다면 그보다 좋은게 어디있을까. 차가 없던 오래전 인류를 생각해보자. 차를 만드는 기술력도 중요하지만 자동차가 대중화되었을 때 사람들의 삶에 미치는 파급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