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최용우

알고리즘 문제풀이, 얼마나 고민하는게 적당할까. GPT에게 물었다. 본문

알고리즘

알고리즘 문제풀이, 얼마나 고민하는게 적당할까. GPT에게 물었다.

용우쨩 2024. 3. 6. 23:27

백준이라는 온라인 알고리즘 문제풀이 사이트에서 문제를 풀고있다. 햇수로는 어느덧 3년차가 되었다.

나는 1주일 1문제 풀기를 목표로 하고있다. 목표치가 너무 낮은가 싶다가도 나의 풀이속도를 볼때 적당한 수준이다.

 

나의 문제풀이 현황. 초록색이 문제를 해결한 날이다.

 

 

가끔 이런 궁금증이 생긴다.

 

1. 문제가 안풀리면 답지를 보는것이 좋나요? 아니면 안보고 끝까지 푸는게 좋나요?

2. 몇시간 정도 고민하는것이 적당한가요?

 

위 질문에 정답은 없다. 어떤 사람은 답지를 끝까지 안보고 풀어내는것이 의미가 있다고하고 어떤 사람은 지나치게 물고 늘어지는것은 비효율적이므로 일정시간동안 진척이 없으면 답지를 보는것이 좋다고 한다. 그래서 GPT에게 물어보았다. 역시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라고 일명 '케바케'를 시전한다. 아래는 GPT의 일부이다.

 

 

1. 난이도에 따라 조절:

문제의 난이도에 따라 고민하는 시간을 조절할 필요가 있습니다. 쉬운 문제는 빠르게 있도록 노력하고, 어려운 문제는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것이 합리적일 있습니다.

 

2. 학습 목표와 시간 관리:

목표에 따라 시간을 관리하세요. 일정 시간 동안 여러 문제를 푸는 것이 목표일 수도 있고, 문제에 몰두하여 깊은 이해를 얻는 것이 목표일 수도 있습니다.

 

3.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접근:

구체적인 알고리즘 문제, 데이터 구조 문제, 혹은 경험적인 문제 다양한 종류의 문제에 따라 접근 방식과 고민 시간이 다를 있습니다.

 

4. 고민에 지칠 쉬어가기:

문제에 고민하다가 지칠 때는 잠시 쉬어가는 것도 중요합니다. 강제로 머리를 쓰는 것보다 휴식을 취하고 다시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일 있습니다.

 

5.해답 확인과 토론:

고민 시간을 너무 오래 두지 말고, 특히 어려운 문제는 다양한 해결법을 찾아보고, 다른 사람들과 토론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종합하자면 지나치게 고민만 하기보다는 일정시간 기준을 잡고 여러접근법, 피드백을 받아야 한다는 것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혼자 생각해서 문제를 풀었을때 기쁨은 이루 말할 수 없지만 맹목적인 고민과 시간투자는 비효율적인 것이다. 그런데 말이야 황논문 서울대 교수의 몰입이라는 책은 생각의 힘을 강조하고 있다. 뭔가 의견 충돌이 있을것 같다. 한번 자세히 분석해서 다음편에 적어야 겠다.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1578] 세계 정복(파이썬)  (0) 2023.05.06
백준[1721] 상자퍼즐(파이썬)  (1) 2023.03.01
백준[1749] 점수따먹기(파이썬)  (0) 2023.03.01
백준[1570] 오세준  (0) 2023.02.26
백준[1488] 숌트링 파이썬  (0) 2023.02.16